728x90

 

1988년 이후 금 가격의 월봉 그래프

금 값이 금 값이어서 챗GPT한테 한번 물어봤어

 

이하 대답

 

이 월봉 그래프는 금 가격이 역사적으로 극적인 상승을 보여주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런 움직임은 몇 가지 요인에 의해 촉발될 수 있으며, 이는 기술적 분석 및 거시 경제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관점에서 분석:

  1. 장기적 상승 추세: 그래프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금은 지속적인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주요 지지선을 지속적으로 높여가며 강한 상승 모멘텀을 보였습니다.
  2. 최근 급등: 2022~2025년 기간 동안 급격한 상승세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 증가,
    • 지정학적 불확실성,
    • 달러 약세와 같은 요인들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3. 패턴 분석:
    • 최근의 가격 움직임은 파라볼릭 상승을 나타내며, 이는 과매수 상태를 암시할 수 있습니다.
    • 이와 같은 패턴은 이후 큰 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근거와 전망:

  1. 상승 가능성 (~30%):
    • 금은 안전자산으로서의 역할이 강화되고, 중앙은행의 금 보유량 확대나 추가적인 지정학적 위기가 발생한다면 상승세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
  2. 횡보 가능성 (~40%):
    • 현재 수준에서 심리적 저항선 (예: $3,000)에 의해 상승이 제한되고 조정이 이루어지며 가격이 안정화될 수 있습니다.
  3. 하락 가능성 (~30%):
    • 금리 인상 지속 또는 달러 회복이 이루어진다면 금 가격이 조정을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결론:

이러한 극단적인 상승세는 지속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중기적으로는 조정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시점에서 신규 매수보다는 조정 시점을 기다리는 전략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728x90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돔황챠... 중국 CSI 300 지수  (0) 2025.01.02
채권, 이자 지급일 전에 팔면?...  (0) 2024.03.20
미국 채권 금리 인하 기초 질문  (0) 2024.03.19
미국 주식투자의 단점  (0) 2022.12.29
루나, 테라 사태를 보며...  (0) 2022.05.16
728x90

박스권 하향 이탈하면 

최소한 바닥서 오른 거의 절반

좀 더 길게는 전저점 테스트도 가능할 듯 함

 

립 서비스로 너무 많이 땡기셨어...

728x90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 값이 미친 거 같어....  (0) 2025.02.05
채권, 이자 지급일 전에 팔면?...  (0) 2024.03.20
미국 채권 금리 인하 기초 질문  (0) 2024.03.19
미국 주식투자의 단점  (0) 2022.12.29
루나, 테라 사태를 보며...  (0) 2022.05.16
728x90

 

 

채권 가격은 시장 금리의 등락에 따라 시시각각 변합니다만

기본적으로 하루치 이자만큼 매일 상승합니다

 

그러다가 이자 지급일이 되면

아래 그림에서처럼 해당날짜의 채권 보유자에게 이자를 지급하면서

이자지급 금액만큼 가격이 내려간 다음

다음날부터 또다시 매일 하루치 이자만큼 가격이 올라가는 것을 반복합니다

 

따라서 이자지급일 전에 팔거나 사더라도

이미 가격에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채권 매매자간에 이자 지급 전인지 아니면 후인지에 따른

유리함이나 불리함이 없습니다

 

 

채권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채권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1. 만약 제가 3개월짜리 미국 채권을 구매했는데 이자지급 주기가 6개월인 경우, 저는 이자를 받을 수 없는건가요? 아니면 6개월되면 ...

kin.naver.com

 

728x90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 값이 미친 거 같어....  (0) 2025.02.05
돔황챠... 중국 CSI 300 지수  (0) 2025.01.02
미국 채권 금리 인하 기초 질문  (0) 2024.03.19
미국 주식투자의 단점  (0) 2022.12.29
루나, 테라 사태를 보며...  (0) 2022.05.16
728x90

앞으로 미국의 금리인하가 예상되는 시점에서,
현재의 중장기 미국채권이 금리인하가 되었을때 채권가격이 상승한다고 들었는데,

1. 추후 금리가 인하되면, 비교적 금리가 높았을 때의(현재) 채권선호에 의한 채권가격 상승 때문이 맞나요?

향후 미국 연방준비위원회가 기준 금리를 인하하면, 채권의 전반적인 시장 금리가 하락할 것이고

그렇다면 현재 해당 채권의 유통수익률은 현재 매수수익률인 4.078% 보다 낮아질 것입니다

 

현재 85.279041달러에 거래되는 채권을 사게되면

아래와같이 만기까지 총 114.0625 달러의 현금흐름이 발생하는데

만기까지의 현금흐름을 4.078%(매수수익률)로 할인하면 그 금액이 85.279041 달러라는 의미입니다

미래 이자와 원금의 지급 금액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매수수익률(할인율)이 더 높아지면 현재의 채권은 더 싸지는 것이고

반대로 매수수익률이 더 낮아지면 현재의 채권 가격은 더 비싸지게 됩니다

 

시간이 흘러 예상대로 채권의 수익률이 낮아지면

보유기간 중 수령한 이자와는 별개로

아직 받지 않은 이자와 원금 부분의 현재가치가 올라 매매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금리가 높다는 것은 이자율이 높고, 그만큼 투자금액대비 매년 들어오는 이자수익이 높다는 말이 맞나요?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채권은 발행당시 정해진 이표(이자)금리와

유통시장에서 거래할 때 적용하는 할인율 금리는 다른 개념입니다

 

아래 채권의 경우도 발행당시 금리는 1.875%로 낮았지만
이후 시장 금리가 4.078%로 상승하다보니
발행당시 액면가 100달러였던 채권이 이보다 훨씬 낮은 85.28달러에 거래되는 중인 겁니다

 

만약 오늘 같은 채권을 새로 발행한다면 이 채권의 이표 금리는 아마 4.078%로 책정될 것이고
채권의 가격은 85달러가 아닌 100달러가 될 겁니다

 

두 채권의 수익률이 4.078%로 같더라도
한 채권은 매년 이자 1.875달러를 받는 대신 가격이 85달러이고
다른 채권은 이자로 훨씬 많은 4.078달러를 받지만 대신 가격은 100달러가 되는 겁니다

 

따라서 아래 채권의 경우 수익률은 높지만 들어오는 이자는 적은 셈입니다

 

3. 그러면 아래 사진은 현재 금리가 높다고 하는데 표면이율은 1.8%정도 밖에 되지 않는데,

    이 표면이율이 나중 금리인하가 됐을때도 매력적인 수치가 맞나요?

위에 설명했듯이

표면이율과 채권의 투자 수익률은 별개의 개념이니

혼동하지 말고 잘 구분해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출처:

 

미국 채권 금리인하 기초질문

앞으로 미국의 금리인하가 예상되는 시점에서,현재의 중장기 미국채권이 금리인하가 되었을때 채권가격이 상승한다고 들었는데, 1. 추후 금리가 인하되면, 비교적 금리가 높았을 때의(현재...

kin.naver.com

 

728x90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돔황챠... 중국 CSI 300 지수  (0) 2025.01.02
채권, 이자 지급일 전에 팔면?...  (0) 2024.03.20
미국 주식투자의 단점  (0) 2022.12.29
루나, 테라 사태를 보며...  (0) 2022.05.16
지금이닛? (feat 박호두)  (0) 2021.07.16
728x90

미국 주식 투자해보니
2가지 정도 단점이 있더라고...

 


우선 하나는 환율


이건 양방향이라
유리할 때도 있고 불리할 때도 있는데

 

주가가 오르더라도 환율이 주가보다 더 내리면 손해고
심지어 주가가 내렸는데 환율도 같이 내렸다면 이중으로 손해야....

 

반대로...

주가는 내렸는데 그 이상으로 환율이 오르거나

주가도 오르고 환율도 올랐으면 대박이지

 

따라서 주가만 볼 게 아니라

환율도 감안해서 의사결정을 해야 해

 

 

두번째는 소득세

 

우리나라 주식은 대주주가 아닌 이상 

증권사에 내는 거래 수수료랑

증권거래세 정도만 부담하면 되는데

 

미국 주식은 

1년에 한번

실현이익에서 실현손실을 감안한 이익금의 약 10% 정도를

우리나라 국세청에 신고하고 세금을 내야 해

 

세금 계산은 증권사 HTS 상에서 바로 가능하고

국세청 신고도 증권사에 신청하면 대행해주기 때문에 괜찮은데

 

젤~ 문제는

설사 이익을 냈더라도

거래 종결시 바로 세금을 내고 치우는게 아니라

사후적으로 1년치에 대해 세금을 낸다는 거야

 

사람이 보통

이익금의 10%을

나중에 세금 내겠다고 따로 빼두지 않거든

 

설사 많이 벌었다고 쳐도

막상 세금 낼 시기에 다른 주식에 물려있거나 하면

세금 내기가 막막해... ㅡㅡ;

728x90

+ Recent posts